그룹명/뉴스 & 지식

대기오염물질 ..

star3 2011. 7. 12. 13:59

대기오염물질

오염물질은 크게 가스상물질, 분진(粉塵), 매연, 악취로 나눌 수 있고, 대표적인 것으로는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분진과 2차오염물질인 오존과 과산화물이 있다

황산화물(黃酸化物)
이는 대부분 연료중의 황(黃 : Sulfur)분이 연소시 공기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생성되고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황분이 산화하면 먼저 이산화황(=아황산가스 : SO2)이 되고 더 산화하면 삼산화황(=황산가스 : SO3)이 되는데, 이를 통틀어 황산화물이라 하고 SOx (SO2와 SO3)로 나타낸다. SO2는공기중에서 쉽게 SO3로 산화하고 이는 공기중 수분과 반응하여 미세한 황산(黃酸: H2S04)방울이 된다. 황산화물가스는 무색의 강한 자극성 기체로 어떤 농도이상이면 호흡기에 유독하고, 저농도에서도 저항성이 약한 식물에 해를 주어 고사시킨다.

또 황산화물은 질소산화물과 함께 산성비(酸性雨 : Acid Rain)를 내리게 하는 원인이 되어 빌딩과 금속구조물을 부식시키고 동식물에 해를 끼친다. 산성비는 좁게는 어느 도시나 공단지역에 한정된 피해를 주지만 황산화물이 대량 배출되면 넓게 때로는 피해지역이 국경을 넘는 광역으로 확산된다. 그리하여 호수, 지표수, 지하수의 산성화로 수중동식물을 죽게 하고, 산림과 농토를 황폐화시킨다.

황산화물은 질소산화물과 더불어 주로 발전소 제련(製鍊 . Smelting)산업과 수송기관에서 석탄과 석유를 연소시킬 때 발생한다. 황산화물에 의한 대기오염 저감대책에는 사전적(事前的) 및 사후적 방법이 있는데 전자는 저황연료(저황 원유나 석탄)또는 청정연료(천연가스, LPG)를 선택하거나 석유제품을 미리 탈황(脫黃 : Desulfurization)하는 원천적 방법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이고, 후자는 중유나 석탄의 연소로 생긴 연도가스(煙道가스 flue Gas)중의 아황산가스를 탈황한뒤 굴뚝으로 배출하는 이른바 배연탈황(排煙脫黃)법으로 경제성면에서 대규모시설에만 적용가능한 한계가 있다.


질소산화물(室素酸化物)
질소산화물은 모든 보통방식의 고온연소에서 생성되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데, 대부분은 공기중 질소에 연유하나 약간은 연료중 질소의 산화로 생긴다. 질소는 산화하면 여러 가지 질소산화물, 즉 일산화질소(NO), 삼산화이질소(N2O3), 이산화질소(NO2)등이 생기는데 이들을 통틀어 NOx로 나타낸다. NOx는 공기중에서 쉽게 산화하여 NO2로 변하고 물에 녹으면 질산(窒酸 : HNO3)이 되므로 황산화물과 마찬가지로 산성비의 발생원이 된다. 질소산화물은 유해하여 직접적으로 인간의 호흡기를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키고 식물에 손상을 주는가 하면, 간접적으로는 광화학스모그 반응에서 핵심적 역할을 한다. 다만 소기(笑氣)로도 알려진 아산화질소(N2O)는 마취제로 쓰이고 NOx에 포함되지 않는다.


탄화수소류
이것은 VOC(Volatile Organic Compound :휘발성 유기화합물)라고도 한다. 휘발유등 석유제품의 사용중 증발되는 휘발성 물질은 물론석유, 알콜, 기타 유기산등의 불완전연소로 생기는 각종 미연소물질등이 포함된다. 여기에는 메탄류는 물론 알데히드, 케톤류와 벤젠, 벤조피렌등 각종 다핵탄화수소(PAH)가 포함되어 있는데, 그 중 어떤 것은 발암물질이고, 대개 매우 자극적이고 냄새가 심하다.

탄화수소는 PAH류외에는 인체에 유해성이 없으나 질소산화물과 함께 햇빛을 받으면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2차적으로 오존, PAN등의 오염물질을 생성하여 시정장애, 눈병, 호흡기장해나 식물에 손상을 초래한다. 따라서 현재는 대기중의 탄화수소농도 대신 간접적으로 오존농도를 규제한다.


일산화탄소
이것은 주로 연료가 불충분한 산소공급하에 연소(불완전연소)할 때 생성되고 또 이산화탄소가 적열(赤熱)된 탄소와 접촉할 때 생긴다. 일산화탄소(CO)는 무색, 무취의 유독한 기체로 사람이 소량을 흡입하여도 중독을 일으키고 자칫하면 목숨을 잃는다. 이것을 흡입하면 산소(O2)대신 혈액중 헤모글로빈(Hb)과 결합하여 CO-Hb를 형성하는데, CO는 산소(O2)에 비하여 Hb과의 결합능력이 200배 이상으로 커서 헤모글로빈의 산소운반능력을 크게 감소시킨다.

주된 발생원은 주택난방과 자동차의 배기가스이다. 과거 겨울철에 우리나라 가정에서 많은 중독자와 사망자를 내었던 연탄가스의 주범이 바로 일산화탄소이고, 그 때 함께 코를 찌르는 냄새의 주인공은 아황산가스이다.


분진(粉塵=먼지)
먼지는 대기나 연도(煙道)가스 중에 장시간 부유하는 미세한 고체나 액체의 입자상(粒子狀)물질을 말한다. 인체의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은, 그 화학적 조성에 따라 폐세포에 대한 영향이, 입자의 크기에 따라 폐의 흡착부위가 달라진다. 보통 공기중 입자의 직경은 0.001-500μ 범위에 퍼져 있으나 0.1-10μ가 가장 많다. 1μ(미크론) = 10-3mm = 104Å

입자상물질중 고체에는 Fume(석유, 담배의 연기) <1μ<Dust(석탄재)가, 액체에는 Mist (황산안개) < 10μ<Spray가, 또 대기중에는 Smog<2μ<구름/안개(Fog)등이 있다. 분진의 영향은 건강장애, 대기중 화학작용증진, 시정장애, 침강(沈降)승진, 안개와 구름의 형성, 태양에너지감소등을 들 수 있다. 화석연료와 관련된 분진으로는 석탄의 수송·저장·분쇄 먼지와 연소시 연도가스에 섞여 날으는 재와 미연소분, 석유류의 불완전연소로 인한 검댕(媒煙 : Soot)등이있고, 이런 먼지의 대기중 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집진장치(集鹿裝置 : Dust Collector)가 사용되고 있다.


오존과 과산화물
오존(Ozone O3)은 정상적 공기중에 소량(약 0.02lpm) 포함되어 있고, 여름날 번개가 칠 때 생성된다. 매우 강력한 산화력을 갖고 있어 유기물 부패시 발생하는 악취물질을 제거시키는데 이용되는데, 이 때 농도가 10-20ppm으로 사람이 이런 농도에 노출되면 즉시 사망한다. 가정용 공기청정기는 0.1ppm정도의 저농도 오존을 실내공기중에 발생 시켜 냄새를 상당히 줄여준다.

오존과 PAN(Peroxoacetylnitrate)등 과산화물(Oxidants)은 일반적으로 자극성이 있고, 동식물에 손상을 초래한다. 이들 물질은 공기중의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나 기타 유기물증기가 햇빛을 받아 광화학반웅을 일으켜서 생성된다. 자동차 배기가스는 대개 NOx, CO 및 탄화수소를 함유하므로 자동차가 많고 일조량이 풍부한 대도시에서 광화학스모그가 생길 우려가 높다.


☞ 참고문헌 : 목영일,김태문 著 21세기의 에너지

대기오염물질

오염물질은 크게 가스상물질, 분진(粉塵), 매연, 악취로 나눌 수 있고, 대표적인 것으로는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분진과 2차오염물질인 오존과 과산화물이 있다

황산화물(黃酸化物)
이는 대부분 연료중의 황(黃 : Sulfur)분이 연소시 공기중의 산소와 결합하여 생성되고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황분이 산화하면 먼저 이산화황(=아황산가스 : SO2)이 되고 더 산화하면 삼산화황(=황산가스 : SO3)이 되는데, 이를 통틀어 황산화물이라 하고 SOx (SO2와 SO3)로 나타낸다. SO2는공기중에서 쉽게 SO3로 산화하고 이는 공기중 수분과 반응하여 미세한 황산(黃酸: H2S04)방울이 된다. 황산화물가스는 무색의 강한 자극성 기체로 어떤 농도이상이면 호흡기에 유독하고, 저농도에서도 저항성이 약한 식물에 해를 주어 고사시킨다.

또 황산화물은 질소산화물과 함께 산성비(酸性雨 : Acid Rain)를 내리게 하는 원인이 되어 빌딩과 금속구조물을 부식시키고 동식물에 해를 끼친다. 산성비는 좁게는 어느 도시나 공단지역에 한정된 피해를 주지만 황산화물이 대량 배출되면 넓게 때로는 피해지역이 국경을 넘는 광역으로 확산된다. 그리하여 호수, 지표수, 지하수의 산성화로 수중동식물을 죽게 하고, 산림과 농토를 황폐화시킨다.

황산화물은 질소산화물과 더불어 주로 발전소 제련(製鍊 . Smelting)산업과 수송기관에서 석탄과 석유를 연소시킬 때 발생한다. 황산화물에 의한 대기오염 저감대책에는 사전적(事前的) 및 사후적 방법이 있는데 전자는 저황연료(저황 원유나 석탄)또는 청정연료(천연가스, LPG)를 선택하거나 석유제품을 미리 탈황(脫黃 : Desulfurization)하는 원천적 방법으로 가장 바람직한 것이고, 후자는 중유나 석탄의 연소로 생긴 연도가스(煙道가스 flue Gas)중의 아황산가스를 탈황한뒤 굴뚝으로 배출하는 이른바 배연탈황(排煙脫黃)법으로 경제성면에서 대규모시설에만 적용가능한 한계가 있다.


질소산화물(室素酸化物)
질소산화물은 모든 보통방식의 고온연소에서 생성되어 대기중으로 배출되는데, 대부분은 공기중 질소에 연유하나 약간은 연료중 질소의 산화로 생긴다. 질소는 산화하면 여러 가지 질소산화물, 즉 일산화질소(NO), 삼산화이질소(N2O3), 이산화질소(NO2)등이 생기는데 이들을 통틀어 NOx로 나타낸다. NOx는 공기중에서 쉽게 산화하여 NO2로 변하고 물에 녹으면 질산(窒酸 : HNO3)이 되므로 황산화물과 마찬가지로 산성비의 발생원이 된다. 질소산화물은 유해하여 직접적으로 인간의 호흡기를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키고 식물에 손상을 주는가 하면, 간접적으로는 광화학스모그 반응에서 핵심적 역할을 한다. 다만 소기(笑氣)로도 알려진 아산화질소(N2O)는 마취제로 쓰이고 NOx에 포함되지 않는다.


탄화수소류
이것은 VOC(Volatile Organic Compound :휘발성 유기화합물)라고도 한다. 휘발유등 석유제품의 사용중 증발되는 휘발성 물질은 물론석유, 알콜, 기타 유기산등의 불완전연소로 생기는 각종 미연소물질등이 포함된다. 여기에는 메탄류는 물론 알데히드, 케톤류와 벤젠, 벤조피렌등 각종 다핵탄화수소(PAH)가 포함되어 있는데, 그 중 어떤 것은 발암물질이고, 대개 매우 자극적이고 냄새가 심하다.

탄화수소는 PAH류외에는 인체에 유해성이 없으나 질소산화물과 함께 햇빛을 받으면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2차적으로 오존, PAN등의 오염물질을 생성하여 시정장애, 눈병, 호흡기장해나 식물에 손상을 초래한다. 따라서 현재는 대기중의 탄화수소농도 대신 간접적으로 오존농도를 규제한다.


일산화탄소
이것은 주로 연료가 불충분한 산소공급하에 연소(불완전연소)할 때 생성되고 또 이산화탄소가 적열(赤熱)된 탄소와 접촉할 때 생긴다. 일산화탄소(CO)는 무색, 무취의 유독한 기체로 사람이 소량을 흡입하여도 중독을 일으키고 자칫하면 목숨을 잃는다. 이것을 흡입하면 산소(O2)대신 혈액중 헤모글로빈(Hb)과 결합하여 CO-Hb를 형성하는데, CO는 산소(O2)에 비하여 Hb과의 결합능력이 200배 이상으로 커서 헤모글로빈의 산소운반능력을 크게 감소시킨다.

주된 발생원은 주택난방과 자동차의 배기가스이다. 과거 겨울철에 우리나라 가정에서 많은 중독자와 사망자를 내었던 연탄가스의 주범이 바로 일산화탄소이고, 그 때 함께 코를 찌르는 냄새의 주인공은 아황산가스이다.


분진(粉塵=먼지)
먼지는 대기나 연도(煙道)가스 중에 장시간 부유하는 미세한 고체나 액체의 입자상(粒子狀)물질을 말한다. 인체의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은, 그 화학적 조성에 따라 폐세포에 대한 영향이, 입자의 크기에 따라 폐의 흡착부위가 달라진다. 보통 공기중 입자의 직경은 0.001-500μ 범위에 퍼져 있으나 0.1-10μ가 가장 많다. 1μ(미크론) = 10-3mm = 104Å

입자상물질중 고체에는 Fume(석유, 담배의 연기) <1μ<Dust(석탄재)가, 액체에는 Mist (황산안개) < 10μ<Spray가, 또 대기중에는 Smog<2μ<구름/안개(Fog)등이 있다. 분진의 영향은 건강장애, 대기중 화학작용증진, 시정장애, 침강(沈降)승진, 안개와 구름의 형성, 태양에너지감소등을 들 수 있다. 화석연료와 관련된 분진으로는 석탄의 수송·저장·분쇄 먼지와 연소시 연도가스에 섞여 날으는 재와 미연소분, 석유류의 불완전연소로 인한 검댕(媒煙 : Soot)등이있고, 이런 먼지의 대기중 분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집진장치(集鹿裝置 : Dust Collector)가 사용되고 있다.


오존과 과산화물
오존(Ozone O3)은 정상적 공기중에 소량(약 0.02lpm) 포함되어 있고, 여름날 번개가 칠 때 생성된다. 매우 강력한 산화력을 갖고 있어 유기물 부패시 발생하는 악취물질을 제거시키는데 이용되는데, 이 때 농도가 10-20ppm으로 사람이 이런 농도에 노출되면 즉시 사망한다. 가정용 공기청정기는 0.1ppm정도의 저농도 오존을 실내공기중에 발생 시켜 냄새를 상당히 줄여준다.

오존과 PAN(Peroxoacetylnitrate)등 과산화물(Oxidants)은 일반적으로 자극성이 있고, 동식물에 손상을 초래한다. 이들 물질은 공기중의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및 탄화수소나 기타 유기물증기가 햇빛을 받아 광화학반웅을 일으켜서 생성된다. 자동차 배기가스는 대개 NOx, CO 및 탄화수소를 함유하므로 자동차가 많고 일조량이 풍부한 대도시에서 광화학스모그가 생길 우려가 높다.


☞ 참고문헌 : 목영일,김태문 著 21세기의 에너지

'그룹명 > 뉴스 &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구온실효과  (0) 2011.07.12
다이옥신  (0) 2011.07.12
LNG 냉열(冷熱)발전   (0) 2011.07.12
일본 원전 방사능 유츨 방사능 피해 대비 요령   (0) 2011.04.07
방사능이 몸에 문제를 일으키는 원리  (0) 2011.0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