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도가 올라가는 시간은?
설치 시 주변 상황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보통 1분 내에 40~60도 이상의 온도범위에 도달합니다.
◎ 오랫동안 켜두면 과열이 되지 않나요?
시공 시 컨트롤러가 설치됩니다. 이 컨트롤러가 적정한 온도를 유지시켜주며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쾌적한 온도를 설정할 수 있어 오랫동안 작동되더라도 과열이 되지 않습니다.
◎ 면적이 넓은 장소에서 시공이 가능합니까?
대형병원, 복지시설, 유치원, 종교시설 등 모든 장소에 시공이 가능합니다.
◎ 바닥 이외의 장소에 시공할 수 있습니까?
주변 상황에 맞춰 벽면, 천정 등에도 시공할 수 있습니다.
◎ 전자파 발생문제로 걱정이 됩니다.
전기를 이용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전자파가 나오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그 발생량은 인체에 해로 움을 끼칠 정도의 양은 아니며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받는 미약한 수준입니다.
오히려 원적외선의 발생으로 인한 신체의 온열작용으로 혈액순환, 세포조직생성 등의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
◎ 시공단가를 알고 싶습니다.
단가는 시공장소와 주변 상황, 여건 및 사용된 자재의 종류 등에 따라 유동적이며,
단순히 제품단가만을 가지고 책정할 수는 없습니다. 실제 시공단가는 현장 실측 및 상담 후 결정됩니다.
◎ 설치가 간단하다고 하는데 DIY도 가능합니까?
설치는 복잡하지 않지만 전기를 사용하는 제품으로 시공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실 것을 권장합니다.
◎ 설치가 간단하다고 하는데 DIY도 가능합니까?
한라드림히트는 탄소전면도포방식으로 구멍이 나거나 찢어진 부분만 발열이 안 될 뿐,
나머지 부분의 발열 기능은 그대로 유지되며 재시공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단, 안전성을 위하여 파손된 부분을 절연테이프 처리만 해주시면 됩니다.
만일, 동선 부분이 손상된 경우는 시공업체를 통해 반드시 A/S를 하셔야 합니다.
◎ 기존에 보일러가 있는데 다시 공사해야 하나요?
아닙니다. 그럴 필요 없습니다. 기존 보일러와 교체 설치하고 기존의 라인은 그대로 쓰셔도 무방합니다.
◎ 공기보일러에 멀티 시스템을 연결하면 효율이 떨어지나요?
공기 보일러의 경우 실외기 용량을 큰 걸로 사용합니다. 그래서 바닥난방 뿐 아니라 냉난방기,
온수까지 사용하시는데 큰 지장은 없습니다. 보통의 보일러도 급탕 기능 사용 시 바닥 난방으로
온수를 안 내보내듯이 저희 제품도 이를 컨트롤 합니다.
◎ 정말로 유지비가 그렇게 적게 드나요?
30평 기준으로 1일 10시간 사용, 30일 기준으로 계산하면 소비전력 3Kw X 10시간 X 30일 X
겨울철 에너지 단가 66.8원 = 60,120원 입니다.
2006년 1월 에너지 단가 기준이며 일반 상가 기준입니다.
유지비 비교는 기술자료 중 경제성 비교에 나와 있습니다.
◎ 주변에서 난방에 문제가 있다고 합니다.
저희 제품은 화석연료를 주원료로 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 불을 떼듯이 80℃ 정도의 뜨거운 온수가
공급되는 것이 아닙니다.
전기를 원료로 하지도 않고 전기로 공기를 순환시키며 응축, 압축을 통해 나오는 기화열로
물을 데우며 또는 이를 활용하여 냉난방기로 뜨거운 공기를 내 보냅니다.
따라서 기존의 가스나 등유 보일러와 비교를 하신다면 덜 따듯하다고 말씀하시는 소비자 분들이 계십니다.
가스 보일러에 난방수 온도가 표시되는 보일러에 보시면 보통 60~70℃ 정도를 유지합니다.
저희 공기보일러도 외부온도 영하 15℃의 조건에서 60~70℃를 유지합니다.
◎ 가정집에서도 사용 가능합니까?
현재 가정용 전기는 누진세가 크게 작용합니다.
소비전력 3Kw를 10시간씩 30일을 쓰면 월 총 소비전력이 900Kw 정도가 되는데 누진세 적용하면
40만원을 초과하게 됩니다.
기존의 월 사용전력까지 계산하면 더 올라갈 것입니다.
그러므로 가정용 전력이 아닌 상가용 전력이 들어오는 식당 등이 적합합니다.
향후에 대형 물탱크를 겸한 제품을 출시하여 심야전기로 물을 미리 비축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가정용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 제품 가격 외에 추가로 들어가는 비용이 있나요?
기본 설치비는 포함되어 있으며 바닥 공사를 안 하셨다면 바닥 공사비와 계약전력이 모자라면
전기 증설비 등이 들어갈 수 있습니다.
'드림히트 시공에 대한 질문 &답변 > 필름난방과 히트펌트 질문&답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전이 되었는지 알수있는방법 멀티테스터기 사용법 (0) | 2009.03.17 |
---|---|
단열재의 종류 (0) | 2009.03.17 |
시골집 리모델링 건 문의 (0) | 2009.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