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체의 전기적 특성
전격에 의한 인체의 반응 및 사망의 한계는 그 속성상 인체실험이 어렵고, 또 어떠한 실험결과가 나와도 그것은 검증이 어렵다는 점과 인간의 다양성, 재해당시의 상황변수 등의 이유로 획일적으로 정하기는 어렵지만, 인체의 감전시 그 위험도는
① 통전전류의 크기, ② 통전시간, ③ 통전경로, ④ 전원의 종류에 의해 거의 결정됩니다.
인체에 대한 전격의 영향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째는 전기신호가 신경과 근육을 자극해서 정상적인 기능을 저해하며, 호흡정지 또는 심실세동을 일으키는 현상이며, 둘째는, 전기에너지가 생체조직의 파괴, 손상 등의 구조적 손상을 일으키는 것입니다.
통전전류에 의한 영향
ㆍ최소 감지전류 교류(상용주파수 60[Hz])에서 이 값은 2[mA]이하로서 이 정도의 전류로서는 위험이 없습니다. ㆍ고통 한계전류 전류의 흐름에 따른 고통을 참을 수 있는 한계 전류로서 교류(상용주파수 60[Hz])에서
성인 남자의 경우 대략 7~8[mA]입니다.
ㆍ이탈 전류와 교착 전류(마비 한계전류) 통전전류가 증가하면 통전경로의 근육 경련이 심해지고 신경이 마비되어 운동이 자유롭지 않게 되는 한계의 전류를 교착 전류, 운동의 자유를 잃지 않는 최대 한도의 전류를 이탈 전류라
하는데 교류(상용주파수60[Hz]) 에서 이 값은 대개 10~15[mA]입니다.
ㆍ심실세동 전류
심장의 맥동에 영향을 주어 혈액 순환이 곤란하게 되고 끝내는 심장 기능을 잃게 되는 현상을 일 반적으로 심실세동이라 하며, 심실세동을 일으킬 때 그대로 방치하면 수분 이내에 사망하게
되므로 즉 시 인공호흡을 실시하여야 합니다.
통전경로의 영향
인체 감전시의 영향은 전류의 경로에 따라 그 위험성이 달라지며, 전류가 심장 또는 그 주위를 통하게 되면, 심장에 영향을 주어 더욱 위험하게 됩니다. 즉, 인체에 전류가 통과하게 되면, 심실세동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통전경로에 따라서는 그 보다 낮은 전류에서도 심실세동의 위험성이 있으며 이에 대한 것을 심장전류계수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통전경로별 심장전류계수
통 전 경 로 |
심장전류계수 |
①왼손-가슴 |
1.5 |
오른손-가슴 |
1.3 |
왼손-한발 또는 양발 |
1.0 |
②양손-양발 |
1.0 |
위의 표에서 숫자가 클수록 위험도가 높아진다. 예를 들면①'왼손과 가슴'간에53[mA]의 전류가 통전 될때와 ②'양손과 양발'사이에 80[mA]의 전류가 흐를 때의 위험도가 서로 동일합니다. '왼손과 가슴(심장)'으로 전류가 통과할 때 가장 위험하고, 오른손보다는 왼손이 통전경로가 되는 경우에 심장을 통과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더 위험합니다. ①의 경우 위험도 : 53[mA] X 1.5 = 80[mA] ②의 경우 위험도 : 80[mA] X 1.0 = 80[mA]
허용 접촉전압 인체의 감전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안전상 허용접촉전압은 주변환경을 고려하여 아래와 같이 정할 수 있다.
종 별 |
접 촉 상 태 |
허용접촉전압 |
제 1 종 |
인체의 대부분이 수중에 있는 상태 |
2.5[V]이하 |
제 2 종 |
인체가 현저하게 젖어 있는 상태 금속성의 전기 기계기구나 구조물에 인체의 일부가 상시 접촉되어 있는 상태 |
25[V]이하 |
제 3 종 |
건조한 통상의 인테상태로서,접촉전압이 가해지더라도 위험성이 낮은 상태 |
50[V]이하 |
제 4 종 |
건조한 통상의 인체상태로서, 접촉전압이 가해지더라도 위험성이 낮은 상태 접촉전압이 가해질 우려가 없는 경우 |
제한없음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