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외 자료/전기관련문의 와 답변

암페아 사용범위와 3상4선에 대하여

star3 2008. 12. 18. 11:36

 질문 :

차단기 R,T에 후크메타로 암페아를 측정하면 각각 4암페아 나옴니다.

그럼 4암페아 사용 범위 입니까? 아니면 8암페아가 사용 범위 입니까?

 

 

답변  1:

삼상에서 R상과 T상을 후크메다로 측정시 각각 4A씩 나왔다는거겠죠?

상이 틀리므로 각각으로 보셔야합니다.

제 생각이 맞는지는 몰라도 저는 삼상이라는게 + 상 세녀석이 각각 짐을 나눠서 짊어지는 모양세라고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그냥 동력부하없이 일반 부하만을 쓰는 수용가의 경우에만요.

일반부하의 경우 회로구성 자체가 단순하기때문이고 안정적인 전기 사용을 위해 부하를 평형이 되게 분리시켜준다고 단순화 시켜도 무리가 없기 때문에요, 따라서 각각 4암페아가 나온다면 부하평형상태라고 판단 하거든요. 아주 좋다고 판단되요 불평형율이 커질수록 위험해지는거거든요.

다른 선배님들께서 더 좋은 말을 해주시겠지만 회로 구성을 살펴보면 왜 그렇게 측정이 되는지 이해하기 쉬울것입니다. 각각의 회로에 달린 부하들을 파악한다면 확실한 답이 나올겁니다. 자세한 내용이 없어서 더 구체적인 것은 알수가 없네요

 

 

답변 2 :

 

사용범위는 4[A]입니다.

 단상이건 삼상이건 상관없이 전류사용범위는 한가닥 전선에 흐르는 전류의 최대치입니다.

 간혹 여러상중 한상은 전류가 많이 흐르고 다른상은 전류가 적게 흐른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경우는 누전되거나 삼상인경우는 부하가 불평형인상태를 말합니다.

부하가 불평형인 상태란 3상에 단상부하가 한쪽에 치우쳐서 사용되고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질문 :

 

y결선하고 델타결선이....

 

변압기, 전동기,발전기,모든 기기, 고압의 철탑, 등등 어디등에 쓰이는지좀....

 

 3상에 4선식에 단상에 2선식에 단상인데 어케 2선식인지

 

답변 : 

 

1.

변압기에서----한전에서 우리가 3상의 전원을 받습니다(이것은 델타라고 보시면 됩니다)

                      선이 3가닥입니다 3상

                      출력 --- 여기선 선 4가닥이 나옵니다.......

                      3가닥은 전압이 같고, 하나는 공통선.

                     ( 3상 4선식) - 같은전압이 3개이고 공통선 1개

 

전동기 -----  전동기의 전원은 대부분 3상전원을 받습니다. 그런데 용량이 큰것은 Y - 델타 운전을 합니다.

                     전동기 Y운전

                     모타부하에 초기에는 많은전류가 흐릅니다,  그래서 전압을 적게해서 모터 초기에 흐르는

                     전류를 적게하기 위 해서 Y운전을 몇초 하다가 델타운전으오 넘어감니다.

 

발전기-----발전기의 출력은 4가닥이 나옵니다....3개의 상과 1개의 공통선 (3상4선식)

                   여기선 공통선 1개를 빼고 3개의 상만 사용한다면 (3상)

 

3상4선식----3개의 상과 1개의 공통선

 

3상        ----3개의 상만 사용..

 

단상      ----단상이라고 하면 공통선 1개와  1개의 상 (3개의 상중에서 아무거나 1개의 상을 사용) 을 사용

                    이렇게 해서 2선 이 됩니다...

 

저압일 경우   3상 4선식은 3개의 상과 1개의 공통선으로 전압을 재보면  상과상은 380V 과 나오고 

                    단상은 1개의 공통선과 상과의 전압은 220V 나옵니다......

    

 

 참고 :

 

우리는 전기를 하면서 가끔 이런걸 기초부터 모르는 박사들도 혹은 전기인도 많습니다.

저도 질문을 하나드리죠 왜 우리는 3상의 전원을 써야 할가요? <---이질문을 던지면 전기인들이라면 누구나 알수 있지만 쉽게 대답을 다들 못합니다.

왜 3상의 전원을 만들어서 여러가지 인적 물적 자원 을 낭비하고 시간을 소요할가요..?

인류 역사상 훌룡한 연구자가 많지만 저 개인적으로 3상의 개념을 가장 훌룡한 연구자라면 페레데이라고 생각합니다.

페레데이의 연구를 토대로 우리는 3상의 전원에 대한 가장 효율적인 이용을 한다고 저 개인적인 생각합니다. 

 

 

 ---------------------------------------------------------------------------------------------

 

상전압 = 

한상의 전압을 의미합니다 이해하기쉽게 설명하자면 상하나에 대한 전압입니다 그러니까 Y 결선에는 중성선(N상 : Neutral conductor 또는 neutral wire)이라고 합니다 이선과 한상 R,S,T중 한선과 의 전압을 상전압이라고 합니다. 테스터기로 R-N, S-N, T-N 이렇게 측정하는것을 상전압이라고 하지요

 

선간전압 =

R-S, S-T, R-T의 전압측정치를 선간전압이라고 합니다  선간전압이 더높게 나옵니다.

이를 식으로 나타내면

 

선간전압 =  √3 * 상전압

 

예)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전압은 220V 가 나옵니다 이것은 상전압일까요 선간전압일까요? 상전압입니다

외부의 전주에보면 변압기가 있는데 거기서 Y결선되어있는데 그중에 중선선을 포함하여 2가닥을 가정에 주기때문입니다 전주 변압기에서 선간전압을 측정 해보면 380v가 나옵니다

√3 * 220v=1.732*220=380v 큰 전동기(모터)를 돌릴때는 이 선간전압을 이용하여 큰 힘을 얻도록 하고

(힘과는사실 별로 상관없지만) 전류를 적게 먹도록 하기위함입니다. 이때는 3상을 다쓰게하는것이죠

 

상전류=선간전류 이때는 √3를 곱하지 않습니다

 


3 상 전원이란,,,
전압이 위상 120 도 차이 나는 전원입니다.
즉,단상 전원은
1초당 60번 sin 함수 곡선을 그리면서 움직입니다.

이런 단상 전원이...3 개가 들어 오는 겁니다.

더 쉽게 애기 하자면,예를 들어 3상은


첫번재 전원이 0 초에 출발 하고
2번째 전원은 20/60 = 1/3 초에 출발 하고
3번찌 저원 40/60 = 2/3 초에 출발 합니다.

이런한 전원의 3개가 모여서 3상 전원이 됩니다.

3상 전원, 만드는 것은 위의 예를 보면 알겠고요.
아마 선은 4 가닥 쓸겁니다. 3 상은 전원이고 1 개의 선은 접지 입니다.
텔타 감마 같은 것은 위 3 선을 연결하는 방법에 따라 결정 되는 거고요
마지막 3상 전원이 쓰는 이유는,,,
주로 공업용 모터에 씁니다.
가정에 쓰는 2 상 모터나 DC 모터는 만드는데 돈도 들고, 비싸고,고장도 잘 나지만,
3상 모터는 철심 권선을 120 차이로 두어서 만들면 되니까.쉽죠,

또한 발전기가 3 상으로 발전하기 때문에,,,,
중간에 단상으로 변환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전기료가 싸요, 그래서, 3상 전원을 쓰죠.
3상 전원은 단상 보다 전원이 세요..^^;

 

 

2.  질문 :


신축건물에 인입선이 70SQMM 3상4선식 CV 선이 변합기에서 지중화로

50M 거리(계량기까지) 설치 됬는데 5층건물근린상가 각층 60평 입니다

엘리베이터 11KW, 계단용 3KW  계약전기이며

각층엔 입주자 미정인데 어느정도가 필요한지 ,또한 95SQMM 전선으로 교체할 경우 비용은

어느정도인지, 70SQMM전선 허용전류를 친절하게 답변해주시면 감사 하겠습니다.

전기 왕초보 질문드립니다.

 

답변 :

 

 

전선의 허용전류는 거리,용량,전기제품에 따라 계산이 필요하지만...

일반적인 근생이나 가정님에 전압강화, 전기제품사양 그런것 따질 필요가 없습니다....

 

70SQMM 한선의 허용전류는 가온전선 지중배관 178A 입니다.

그럼 최대 175A 까지 가능합니다.

여기선 전압강화무시 ---- 관공서도 아니고 일반상가에서는 중요하지 않지만, 거리가 50M라 이것은 반영을 하면..

150A 까지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차단기 용량이 100A,125A,150A,175A,200A,225A용 있습니다.

150A 차단기 용량으로 전력을 계산하면..

 

150A * 1.732 * 380V  = 98.7KW   정도가 되네요.....  

 


 

 

출처 : 전기공사실무

 

http://www.seggiheatwell.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