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균 에너지 경제성 비교 내역 |
서울지역 외기온도 기준 |
비교 항목 |
CO₂급탕기 |
등유 보일러 |
도시가스 보일러 |
전기 보일러 |
사용 연료 |
전기 |
등유 |
도시가스 |
전기보일러 |
연료 단가 |
70원 /Kw |
1,497 원/Litter |
700 원/m3 |
70 원/Kw |
연료 발열량 (저위발열량) |
860 Kcal/Kw |
8,200 Kcal/L |
9,530 Kcal/m3 |
860 Kcal/Kw |
보일러 효율 |
328% |
80% |
85% |
95% |
실제 발열량 |
2,821 Kcal/Kw |
6,560 Kcal/L |
8,101 Kcal/m3 |
817 Kcal/Kw |
물 20ℓ를 20℃→70℃ 올릴때 발열량(1,000㎉) |
24.82원 |
228.20원 |
86.41 원 |
85.68 원 |
CO₂공기보일러 책택시 절감율 |
기 준 |
89.1% |
71.3% |
71.0% | | |
주) 1. 2007년 서울지역 기상청 측정 외기온도 기준. | |
|
CO₂공기보일러 채택시 월간 운전 절감비(1대 기준) |
외기온도 16℃ 기준 |
비교 항목 |
CO₂급탕기 |
등유 보일러 |
도시가스 보일러 |
전기 보일러 |
사용 연료 |
전기 |
등유 |
도시가스 |
전기보일러 |
연료 단가 |
70원 /Kw |
1,497 원/Litter |
700 원/m3 |
70 원/Kw |
연료 발열량 (저위발열량) |
860 Kcal/Kw |
8,200 Kcal/L |
9,530 Kcal/m3 |
860 Kcal/Kw |
보일러 효율 |
328% |
80% |
85% |
95% |
실제 발열량 |
2,821 Kcal/Kw |
6,560 Kcal/L |
8,101 Kcal/m3 |
817 Kcal/Kw |
물 20ℓ를 20℃→70℃ 올릴때 발열량(1,000㎉) |
24.82원 |
228.20원 |
86.41 원 |
85.68 원 |
CO₂공기보일러 책택시 절감율 |
기 준 |
89.1% |
71.3% |
71.0% | | |
주) 1. 상기 데이터는 연평균 외기온도 기준 : DB 16℃, WB 12℃ 기준. 2. 공기보일러에 따른 외기온도 변화에 따라 제품성능 변도됨. (외기온도가 기준보다 높으면 성능향상,낮으면 저하) 3. 외기온도 16℃일 때, 성적계수 COP=4.1이며,외기온도 -15℃일 때,성적계수 COP=2.7 기준. | |
|
CO₂공기 보일러 채택시 우러간 운전 절감비(1대 기준) |
외기온도 -5℃ 기준 |
비교 항목 |
CO₂급탕기 |
등유 보일러 |
도시가스 보일러 |
전기 보일러 |
일일 총 열량(CO2 기준) |
1,476,792 Kcal / day |
월간 총 열량(30일 기준) |
44,303,760 Kcal / month |
월간 사용 연료량 |
19,080 Kcal/Kw |
6,754 Kcal/L |
5,469 Kcal/m3 |
54,227 Kcal/Kw |
월간 사용 연료금액 |
1,335.6 천원/month |
10,110.2 천원/month |
3,828.5 천원/month |
3,795.9 천원/month |
월간 절감 금액 |
기 준 |
8,775 천원/month |
2,493 천원/month |
2,460 천원/month |
절 감 율 |
86.8% |
65.1% |
64.8% | | |
주) 1. 공기보일러에 따른 외기온도 변화에 따라 제품성능 변동됨. (외기온도가 기준보다 높으면 성능향상, 낮으면 저하) | |
|
Heat Pump에 사용되는 냉매비교 |
비교 항목 |
|
CO2(R-744) |
|
R-407C/R-410A |
|
R-22 |
|
비 고 |
|
화학 성분 |
|
CO2 |
|
CH2F2/CHF2CF3/CH2FCF3 |
|
CHCIF2 |
|
|
O.D.P |
|
0 |
|
0 |
|
0.05 |
|
|
|
ODP(Ozone Depletion Potential): 오존 파괴계수로서, R-12의 경우를 1로하여 상대적으로 나타낸 값 |
G.W.P |
|
1 |
|
1730 |
|
1500 |
|
|
|
GWP(Global Warming Potential): 지구온난화 계수로서,CO2의 경우를 1로하여 상대적으로 나타낸 값 |
가연성 / 독성 |
|
N / N |
|
N / N |
|
N / N |
|
|
분자량 (Kg/Kmol) |
|
44 |
|
72.6 |
|
86.5 |
|
|
임계 온도 ( ℃ ) |
|
31.1 |
|
72.1 |
|
96.2 |
|
|
임계 압력 (Mpa) |
|
7.38 |
|
4.95 |
|
4.99 |
|
|
냉동 능력 (Kcal / m3) |
|
5,368 |
|
1,610 |
|
1,037 |
|
CO₂가 냉동능력이 가장우수 |
규제 시점 |
|
없음 |
|
- |
|
2020년 |
|
R-22는 약 2015년 규제예상 |
포화액 : 포화증가비 |
|
1 : 9.5 (포화액1이 포화증기시 9.5배로변화) |
|
|
|
1 : 65 (포화액1이 포화증기 65배로변화) |
|
0℃ 기준 |
운전 압력 (Kg/㎠) |
|
저압 40 / 고압 120 |
|
저압 10 -14 / 고압 25 - 30 |
압력에 따른 위험도 |
|
포화액대비 포화증기비가 프레온에 비해 1/6, 압축비도 1/6 수준으로 프레온계와 비슷한 반발력으로 고압운전시 위험요소는 없음. (비압축성 인물인 경우 1,000㎏/㎠ 에서 터져도 위험도는 없는것과 같은 이치) |
|
주기적인 냉매 및 OIL 보충이 필요함. |
|
|
입출구 온도차 |
|
급수온도에 관계없이 급탕온도 90℃의 순간 급탕이 가능 (급수온도가 1℃라도 90℃의 급탕이 가능함) |
|
급수온도대비 급탕온도가 3℃ ~ 6℃로 순간 급탕 불가능(급수온도가 1℃일 경우 급탕온도는 4℃ ~ 7℃정도로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장시간의 장비운전이 필요함.) |
|
|
급탕 최고 온도 |
|
90℃ |
|
70℃ |
|
55℃ |
|
|
냉동 CYCLE를 이용한 (Heat Pump) 급탕(온수생산)장비는 체적냉동능력 및 비등점등에서 CO₂냉매가 가장 우수함.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