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태양광발전에 대하여
태양광 개요 .
star3
2010. 12. 13. 16:39

-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을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술
- 햇빛을 받으면 광전효과에 의해 전기를 발생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전방식
- 햇빛을 받으면 광전효과에 의해 전기를 발생하는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전방식
- 태양광 발전시스템은 태양전지(solar cell)로 구성된 모듈(module)과 축전지 및
전력변환장치로 구성됨


-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목적으로 제작된 광전지로서 금속과 반도체의 접촉면
또는 반도체의 pn접합에 빛을 조사(照射)하면 광전효과에 의해 광기전력이 일어나는 것을
이용한 것
- 금속과 반도체의 접촉을 이용한 것으로는 셀렌광전지, 아황산구리 광전지가 있고,
반도체 pn접합을 사용한 것으로는 태양전지로 이용되고 있는 실리콘광전지가 있음

- 태양전지는 실리콘으로 대표되는 반도체이며 반도체기술의 발달과 반도체 특성에 의해
자연스럽게 개발됨
- 태양전지는 전기적 성질이 다른 N(negative)형의 반도체와 P(positive)형의 반도체를
접합시킨 구조를 하고 있으며 2개의 반도체 경계부분을 PN접합(PN-junction)
이라 일컬음
- 이러한 태양전지에 태양빛이 닿으면 태양빛은 태양전지속으로 흡수되며, 흡수된 태양빛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에 의해 반도체내에서 정공(正孔:hole)(+)과 전자(電子:electron)(-)의
전기를 갖는 입자(정공과 전자)가 발생하여 각각 자유롭게 태양전지속을 움직이게 되지만,
전자(-)는 N형 반도체쪽으로, 정공(+)는 P형 반도체쪽으로 모이게 되어 전위가 발생하게 되며
이 때문에 앞면과 됫면에 붙여 만든 전극에 전구나 모터와 같은 부하를 연결하게 되면 전류가
흐르게 되는 데 이것이 태양전지의 PN접합에 의한 태양광발전의 원리임
[PN접합에 의한 태양광 발전의 원리]

대표적인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는 실리콘에
보론(boron:붕소)을 첨가한 P형 실리콘반도체를
기본으로 하여 그 표면에 인(phosphorous)을
확산시켜 N형 실리콘 반도체층을 형성함으로서
만들어짐. 이 PN접합에 의해 전계(電界)가 발생함

이 태양전지에 빛이 입사되면 반도체내의 전자
(-)와 정공(+)이 여기되어 반도체 내부를 자유
로이 이동하는 상태가 됨

자유로이 이동하다가 PN접합에 의해 생긴
전계에 들어오게 되면 전자(-)는 N형 반도체
에, 정공(+)은 P형 반도체에 이르게 됨.
P형 반도체와 N형반도체 표면에 전극을 형성
하여 전자를 외부 회로로 흐르게 하면
전류가 발생됨

- 1839년 E.Becquerel(프랑스)이 최초로 광전효과(Photovoltaic effect)를 발견
- 1870년대 H. Hertz의 Se의 광전효과연구이후 효율 1~2%의 Se cell이 개발되어 사진기의
노출계에 사용
- 1940년대∼1950년대초 초고순도 단결정실리콘을 제조할 수있는 Czochralski process가
개발됨
- 1954년 Bell Lab.에서 효율 4%의 실리콘 태양전지를 개발
- 1958년 미국의 Vanguard 위성에 최초로 태양전지를 탑재한 이후 모든 위성에 태양전지를 사용
- 1970년대 Oil shock이후 태양전지의 연구개발 및 상업화에 수십억 달러가 투자되면서
태양전지의 상업화가 급진전
- 현재 태양전지효율 7∼17%, 수명 20년 이상, 모듈가격 $6/W 내외, 발전단가 $0.25∼0.5/kWh


장 점 | 단 점 |
|
|

[태양광발전 시스템 구성도]


[설치사례]


- 태양전지(solar cell, solar battery) : 재료에 따라 결정질 실리콘, 비정질실리콘,
화합물반도체 등으로 분류
- 시스템이용 : 독립형, 계통연계형, 복합발전형
![]() |
![]() |
국내ㆍ외 기술개발 현황 및 동향 |
![]()
![]()
![]()
![]()
![]() 태양전지 모듈은 에스에너지, LS산전, 현대중공업, 쏠라테크, 심포니에너지, 경동쏠라 등에서 생산
![]() 현대중공업, 헥스파워시스템 등에서 태양광발전용 직·교류 변환장치 생산
![]() 세방하이테크(주)에서 태양광발전용 무보수 밀폐형 연축전지 개발 및 실용화
![]() 독립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및 전력연구원에서 개발, 표준화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시스템은 삼성전자에서 개발 ※세계 1위의 기술경쟁력을 가지고 있는 반도체 및 TFT-LCD 산업기반을 활용하여 세계 태양전지 산업을 주도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
[태양광분야 신재생에너지기술개발 기본계획]
![]() ![]()
|
출처 : 신. 재생에너지 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