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덴서 설치시 전기료 절약이 되는지 ..
질문 :
1.콘덴서를 설치하면 전기료가 절약된다고 들었습니다. 어째서 절약됩니까
2.콘덴서 설치하는 방법은?
전동기람면 380v 3상(또는 220v 단상) 이라면 마그네트에서 전동기로 가는 부하측 단자에
같이 연결하면 됩니까
냉동기나 열 온풍기에도 설치가 가능합니까.
3. 전동기 380V 3상 2.2Kw라면 얼마의 콘덴서를 설치하면 됩니까/ 계산방법좀 알고 싶습니다.
답변 :
1. 전기요금중에 역율에 따른 요금제가 있습니다.
역율이 낮으면 투자설비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으므로 그 기준을 전력회사에서 만들어
운용하고 있습니다. 콘덴서를 사용하여 역율을 1에 가깝게 유지하게 되므로 역율로 인한 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또한 변압기 등의 전압강하절감으로 인한 전력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됩니다.
2. 모든 전동기에 사용이 가능하지만, 전동기 용량에 적정한 콘덴서 용량을 선정하여야 합니다.
온풍기의 경우에는 히터부분을 제외한 전동기에 대해서만 콘덴서 용량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3. 전동기의 업체마다 역율이 다르지요.
일단은 역율을 1에 가깝게 할 수 있도록 전동기의 무효전력만큼의 콘덴서 용량을 선정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론 계산식을 사용하는데, 이 때도 전동기의 피상전력을 구하여 이를 상쇄할 용량의 콘덴서를
선정하지요. 하지만 부하기기가 선정되어 있다면 그 부하 특성에 맞게 계산하여야 합니다.
질문 :
주택용스틸하우스를 시공하였는데 건물의 철골을 접촉하면 전기가 흐릅니다.
누전차단기도 동작하지 않고 절연도 아주 좋습니다..
답변 :1
절연 저항 점검 을 하여 누전이 없엇다면 정전기로 볼수 밖에 없읍니다.
정전기 는 다른사람은 아무렇지도 않을수 있지요 . 그리고 정전기 라면 그리 위험 하진 않습니다.
정전기 제거 방법은 주변에 습도를 올려 주면 됩니다
가정용 가습기 가능함 ( 누전체크를 모두 햇을때 의 예 이며 접지는 규정에 의한접지 를 햇을때 조건입니다 )
답변 2 :
콘터네나 일반 임시철제판넬 건물은 접지를 2개이상 잡게 되어있습니다.
한개는 분전반에 잡아서 누전등 기기의 접지를 하고요.
한개는 건물접지를 하게 되어 있습니다..한전 사용전검사시 받습니다..
현재시점으로 봐서는 누전일 가능성이 큽니다...
철골을 따로 접지하면 됩니다.....
그러면 접지가 된부분에는 전기를 오지 않을겁니다..
그리하다 보면 이상한곳을 발견할수도 있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