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3 2008. 12. 30. 18:00

1. 테스터기 로 단선여부 확인방법


스위치를 R 에 놓고 리드선을 측정하고자하는 부분에 놓고 저항이 1옴 아래면

연결이 되었다고 볼수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좀높은경우도 있긴합니다

그리고 이것은 측정하기전에 전원을 제거한후 측정해야 정확한 층정이 가능합니다

테스터기의 저항측정원리는 전압을 가해서 돌아오는 전류의 량으로 저항을 구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전압이 걸려있으면 오판단의 소지가 있습니다.

그리고 측정을 할때 여러번에 걸처서 부품앞단까지 찍고 푸품 끝에서 다음 부품

앞단까지 이런식으로 해야합니다 저항이 아닌 ic소자는 측정이 불가합니다.



2. 테스터기로 누전여부 확인법


테스터기로 누전을 확인하는 방법은 메가테스터라는 절연상태를 시험하는

테스터기가 있습니다 이것은 DC500V(1000V)를 인가해서 500(1000)메가옴

까지 저항을 측정합니다(1번에 잠시 말씀드렸듯이 저항측정은 전압을 인가해서 돌

아오는 전류로 측정합니다 단 메가테스터는 그 인가 전압이 높아서 정밀측정이

가능합니다.) 다른방법으로 전압부와 접지(외함)을 찍는것인데 이 방법은

외함안에 흔히 맴돌이 전류라고하는 아주미약한 전류를 가지고있으면서 높은

전압을 내는 노이즈와 같은것이 있어서 잘쓰지 않습니다 하지만 분전반이라면

달랑 브레이커 부스바 뿐이 없으니 상관없을듯 하군요


3. 테스터기 의 올바른 사용방법


사용하시는 테스터기가 어떤것인지는 모르지만 테스터기는 정밀도에서

큰 차이가 나고 그왜 피크치 전압측정 같은 옵션이 몇가지 있죠

대부분은 테스터기는 저항/전압/전류/주파수 이정도의 측정을 기본으로

합니다 그리고 디지털테스터기라면 순간적으로 떨어지는 전압이라던지

순간적을 튀는 전압을 잡을수 있는 홀드 기능도 있고 다이오드랑 콘덴서도

측정이 가능합니다


1)눈금

각 기능별로(전류, 전압, 저항값) 측정시에 측정값을 읽는 눈금입니다.

디지털 일 경우에는 액정에 수치가 표시 된답니다.

2)DCV(직류 전압)

DCV를 측정할 경우 측정 범위를 적용하는 곳입니다.

3)DCmA(직류 전류)

DCmA를 측정할 경우 측정 범위를 적용하는 곳입니다. 측정 범위는 측정기 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4)측정 봉(적색리드봉,흑색리드봉)

측정(테스터)봉입니다. 위에 그림 같은 경우 봉 과 기기가 일체 형이지만 기기에
따라 분리형 도 있습니다.

5)ACV(교류 전압 )

ACV 교류 전압을 측정하는 곳입니다. 10~1000V 까지 측정할 수 있으나 기종에
따라서는 750V 까지밖에 측정할 수 없는 것도 있습니다. 직류 전압이나 교류전압
등을 측정할 때는 측정하려는 곳의 예상 측정값의 두배이상의 레인지에서 측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테스터 고장의 대부분은 레인지를 잘못 설정하고 측정 하므로써
발생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할 것 입니다.

6)옴 0점 조정 단자

저항을 측정하기전에 이 손잡이로 ( 0 옴 )을 세트합니다.

테스터봉 두 개를 쇼트시키고 바늘을 ( 0 )에 맞춥니다. 이 것은 보다 정확한
저항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전압이나 전류 측정과는 상관 없습니다.

7)TR(트렌지스터) 형별 구분 단자
TR(트렌지스터) 형별을 구분 하는 곳입니다. 이것 역시 기기 마다 없는 것도 있습니다.

8)OHMS ( Ω )

저항을 측정하는 곳입니다. ( Ω 오옴 )이라고 읽으며 배선의 도통상태를 테스트
할 수 있는 곳입니다.

4.주의 사항
직류를 측정할때는 플러스 마이너스를 역으로 측정하면 안됩니다.디지탈인 경우는 극성이 역으로 표시 되겠지만 아날로그 방식은 바늘이 역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바늘이 휘어지거나 고장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테스터에는 교환 가능한 퓨즈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고장이 의심되면 내장 휴즈를 확인해 보십시요.

저항 측정에 문제가 있으면 내부의 건전지를 확인해 보십시요. 저항의 측정은 저항기에 전류를 흘려서 측정하기 때문에 건전지 잔량이 얼마 남지 않으면 측정오차가 커지거나 측정할 수 없게 됩니다. 그러나 전압이나 전류는 건전지가 없어도 측정 할 수 있습니다.(디지탈 방식은 건전지가 다소비되면 아무것도 할 수 없음)

측정하기전에 레인지는 적절한지 반드시 확인하는 습관을 갖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부적절한 레인지로 측정하면 테스터가 고장나거나 타 버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OFF 위치로 하거나 OFF 위치가 없는 테스터라면 저항측정 레인지외에 다른 레인지로 돌려놓고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날로그 테스터기


--랭지----------------------------------------------------
R - 저항측정시
AC(V) - 교류 전압측정시(가정용 전기)
DC(V) - 직류 전압측정시(건전지,밧데리,극성이 있는 전압)
DCmA - 전류 측정
----------------------------------------------------------

저항측정시
1. + 에 빨간색 리드선 꼽고 -(com) 에 검정색 리드선을 꼽습니다.
2. 저항측정시 해당 랭지에 놓고 두 리드선을 쇼트시켜 0옴 조정합니다.
(쇼트시 바늘이 눈금의 0을 가르키게 0옴 조절을 돌려 맞춤)
3. 리드봉으로 저항 측정.
랭지 바꿀때마다 0옴 조정을 해주셔야 합니다.


전압,전류 측정시
1.해당 랭지에 맞춘후 리드봉으로 측정


읽는법
R (저항) 측정의 경우 눈금의 옴을 읽습니다.
DCV, ACV, DCmA의 경우 0~10의 눈금 0~50의 눈금 0~250의 눈금판의 셋중 하나를 봅니다.

저항측정
저항측 눈금이 20을 가르키고 있을때
선택 랭지가 X1 에 위치하고 있다면 20*1 = 20 옴입니다.
선택 랭지가 X10 에 위치하고 있다면 20*10= 200 옴입니다.
선택 랭지가 X100 에 위차하고 있다면 20*100= 2000옴 = 2K옴 입니다.
선택 랭지가 X1K 에 위치하고 있다면 20*1K=20K옴 입니다.
선택 랭지가 X10K 에 위치하고 있다면 20*10K=200K 옴 입니다.

전류 및 전압 측정
교류측정(ACV) 이나 직류 측정(DCV) 비슷합니다.
일단 선택 랭지가 0.5 2.5 10 50 250 1000 이렇게 있는데
눈금판이 3개 있다고 햇습니다.랭지가 0.5 일땐 눈금판을 0~50 까지 있는것을 보고
랭지가 2.5 일때 눈금판을 0~250 까지 있는것을
랭지가 10 일때 0~10 까지 있는것을
랭지가 50 일때 0~50 까지 있는것을
랭지가 250 일때 0~250 까지 있는것을
랭지가 1000 일때 0~10 까지 있는것을 봅니다.

만약 랭지가 2.5 에 선택되어 있고(0~250의 눈금을 봐야겟죠?)
눈금이 150에 있다면 전압은 1.5V 가 되는겁니다.
그러니까 눈금을 0~250 의 눈금을 0~2.5 로 보는거죠.

하나더
랭지가 50에 선택되어 있고(0~50의 눈금을 봄)
눈금이 28에 있다면 이건 계산할 필요없이
28V 가 되는겁니다.

전류측정도 같음.


주의: 모르는 전압측정시 높은 랭지부터 낮은 랭지로 차례로 변환하여 측정
        직류전압 측정시 극성주의(바늘 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