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r3 2008. 12. 10. 17:37

현장에 접지를 포설할때 방법

오피스텔이나 공장 고압이나 저압 모터종류를 접지할때

메쉬접지에 철골을 연결했으면 각층에 철골에 접지선을 러그연결하여 모터 접지 또는 각 사무실 해당 접지를해도 상관없는지

아니면 접지 테스트 박스에서 접지선을 올려 가지치기로 각 현장에 접지를 해도 무방한지 문의 드립니다

접지테스트 박스에서 포설하면 단가가 너무 오버되고 철골 접지가 됬으니 상부에서 러그처리하여

모터접지를 하려하는데 법규정에 접촉이 되는 내용은 없는데 현장 접지저항만(3종접지) 양호하게 나오면

시공에는 이상 없는거 아닌가요..

 

--------------------------------------------------------------------------------------------

 

 답변 1

 

안전관리공사에서 접지저항을 측정하러 올때 접지 저항이 안나오면 특히 1종 3종을 잘 보니 접지박스에서 1종 3종을 신경쓰시면 별 문제는 없을듯하고요.. 해당 질문처럼 시공해도 문제는 없습니다.
심지어 매쉬접지든 분포접지든 뭐든 접지 방식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소금이나 저감제 등 혹은 연탁을 살포하여 반드시 접지에 대한 안전공사기준의 테스트는 통과시켜야 합니다.
저의 경우 안전공사가 3년에 한번 하는걸로 아는데 조건에 마출려면 매해 소금과 연탁을 뿌셔서 관리를 했습니다. 접지동봉 단자 주변 할수없습니다.그러자니 첨부터 다시하기엔 공사비가 만만치 않으니 접지단자함1.2.3.특3을 접지저항값을 관리하면 어디다 연결해도 상관은 없습니다.

 

 

답변 2

 

 저도 잘은 모르지만, 제가 아는 한도내에서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먼저 메쉬망을 깔고 방사형 혹은 탄소 혹은 전해질 접지 등을 합니다.

간혹 메쉬접지 선과 빔(철골)에 전기 용접이나 웰딩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철근에 하는 것이 맞습니다.

비가 오는 관계로 철근에 못하고 빔에 전기용접 할 수 밖에 없었다고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는 발주처를 우롱하는 일입니다. 그리고 웰딩하는 층도 메쉬>잡석>무근 그위의 철근에 하는 것이 맞고요...물론 위의 층에 올라가서 추가 메쉬망을 깔고 다시 웰딩할 수도 있지만,

그건 편법이며 각 부가 연결되어 병렬접지로 인한 저항 값 감소가 이루어 져야하는데(미세하지만) 좀 불안하다고 볼 수 있죠...

제가 아는 시공회사에서 이렇게 시공을 해 놓았는데, 한숨이 나옵니다. 그렇다고 일일이 다 말 할 수도 없고,,, 각 층에 철골에 접지선을 연결한다는 것은 어찌 보면 전혀 이상한 것이 없습니다. 그러나, 기본서에도 있듯이 이렇게 생각하는 이유는 케이지 접지로 인한 등전위와 전체 철근과의 연결 상태를 같게 보는 것에서 나온다고 생각합니다. 접지는 아주 가장 중요한 것이며, 비용이 추가되더라도 정상적으로 해야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심지어 각 기기간의 연접접지시 기기간에 점프식으로 접지하는 것과 각 기기마다 접지선을 빼어서 접지단자에 물리는 것과는 인체 위험도가 틀리게 나온다고 합니다. 물론 통상 편이하게 하고 있지만... 글을 쓰다 보니, 공부를 더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전기공사실무  치토스님의 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