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별난방기기
개별난방기기
1 .가스 온수 보일러
가스 온수 보일러는 액화석유가스 또는 도시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버너를 가진 보일러를 말하며, 도시 가스 소비량이 69.5KW(액화석유가스 5kg/h, 도시가스 70,000W) 이하인 일반가정용 가스온수 보일러가 이에 해당한다.
가스 온수 보일러는 파일럿 버너, 거버너, 주열교환기, 온수용 열교환기, 연소실, 순환펌프, 팽창탱크, 배기장 치, 안전 및 자동제어장치와 케이싱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일러 종류 구분 중 설치방식, 급배기 방식에 따른 구분은 KS B 8102(가정용 가스 연소기기의 구조 통칙)에 나와 있으며, 설치 형태, 온수 공급 방식, 난방수 가열 방식, 난방수 순환방식 및 용도에 따라서는 표1와 같이 구분된다.
가스 온수 보일러의 난방출력은 표시출력의 90%이상이어야 하며, 열효율은 표시 가스 소비량(총발열량)을 기준으로 하여 11.6kW~69.5 kW 에서는 75%이상, 11.6kW 이하와 비례제어 방식에서는 72% 이상이 되도록 규정되어 있다.
표 1 가스 온수 보일러의 종류
구 분 내 용
설치형태
벽걸이형
보일러 몸체를 벽면에 설치하여 사용
바닥설치형 보일러를 받침대 또는 바닥면에 설치하여 사용
온수공급방식
순간식 보일러 몸체에서 주 열교환기 또는 온수용 열교환기에
의하여 온수를 공급
저탕식 별도의 온수저장 탱크에 저장하여 필요한 때 온수를 공급
순환방식
대기차단식 보일러 안의 난방 순환 회로가 대기와 차단되어 밀폐된 방식
대기개방식 보일러 안의 난방 순환 회로가 개방된 방식
용도
난방용 난방 전용으로 사용
난방온수겸용 난방과 온수를 겸용으로 사용
2. 심야 전기 온수보일러
주, 야간에 발생하는 전기부하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하여 권장되고 있는 심야 전기 온수보일러는 경부하가 발생하는 22시부터 익일 오전 8시 사이에 전기 히터로 80~95℃의 온수를 만들어 축열조에 저장하고, 주간 시간대에는 저장된 온수만을 열원으로 하여 온수 감지 자동장치에 의해 25℃~55℃의 온수를 순환시켜 24시간동안 난방에 사용하는 시스템이다. 전기히터, 축열조, 조절 및 제어장치, 팽창탱크로 구성되어 있고, 소규모 건축물, 단독주택, 다세대주택, 공동주택등에 사용되며, 축열효율은 90% 이상이다.
가. 일체식
일체식은 보일러, 축열조, 온수통이 하나의 케이스속에 내장된 형태를 말한다. 설치공간이 적게 소요되고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히터교체시 축열조의 부속기기를 전부 들어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나. 분리식
분리식은 히터부의 보일러를 별도로 설치하여 자연순환 또는 강제순환방식으로 축열조에 온수를 저장하는 형태이다. 히터 고장시 보수가 용이하고 현장시공 및 운반이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많은 설치공간을 필요로 하고 가열부 체적이 작을 경우 국부 가열로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다. 축열재 이용식
난방관 대신 절연관과 축열블럭, 축열효율이 좋은 축재열을 이용하여 심야시간(22시~08시)에 70~80℃까지 가열하여 축열재에 열을 축적하였다가 서서히 열을 전달시켜 바닥 온도를 30~40℃로 일정하게 유지시켜 난방하는 기기로 보일러 및 난방배관이 필요없어 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반면에 열이 자연 방열되므로 시간대별·용도별 사용량을 조정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3. 석유난방기
석유는 가스에 비해 에너지 단가가 싸 경제적이나 연소기의 구성은 상당히 복잡하다. 완전연소와 고효율, 안전성을 목적으로 가스화 연소기술이 진전되고 연소기의 소형화, 마이크로 컴퓨터제어의 고도화로 다양한 종류가 시판되고 있다.
주요 석유난방기를 연소계의 급배기방식에 따라 분류하면 개방식, 반밀폐형, 밀폐형으로 나눌수 있다
개방식연소기는 연소용공기와 실내공기를 이용하여 연소가스를 온풍으로 하여 실내에 송풍하며, 팬히터와 석유스토브가 이에 해당한다. 팬히터는 가스화 연소장치를 내장한 배면흡입, 전면토출방식의 간이온풍 난방유니트로, 소규모 상가와 주택의 부분적인 난방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석유스토브는 방사형과 대류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스토브는 버너상부에 연소통과 반사판이 설치되고 버너하부에 연소탱크가 설치된 형식의 유니트로서 연소통으로부터 방출된 원적외선과 온풍의 대류작용으로 난방을 하게 된다. 제품의 구성이나 운전, 제어기능은 비교적 간단하다.
배기통 부착형 석유스토브는 실내공기를 연소용공기로 이용하고 배기가스는 배기통에 의해 옥외로 방출하는 형식이며, FF식 온풍난방기는 가스화연소장치, 공기가습기, 송풍기를 조합하여 실내공기를 가열 송풍하는 강제대류형 난방기이다.
4. 가스난방기
가스(도시가스, 액화석유가스)는 등유에 비하여 연소가 용이하고 연소가스등의 배출이 적을 뿐만 아니라, 공급이 안정적인 장점이 있다.
가스를 이용한 가스난방기는 개방식과 밀폐식으로 분류된다.
가스스토브는 세라믹 방열체에서 발생한 가스의 연소발열을 반사판을 이용하여 원적외선형태로 방출하게 되어 있으며, 연소가스에 의한 대류효과를 이용하여 난방을 한다.
가스 적외선 난방기는 연소버너에서 발생한 열을 연결된 튜브로 전달, 튜브의 표면에서 원적외선 형태로 방사하여 직접적인 난방효과를 낼 수 있도록 되어있다. 불필요한 공간의 난방 없이 직접 난방효과를 볼 수 있으므로 공장이나 옥외 등 대공간의 국부적인 난방에 많이 사용된다.
5. 전기난방기
전기난방기는 전기를 통한 전기저항체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한다. 다른 연료에 비해 발열단가는 높으나 연소장치가 없으므로 연소용 공기가 불필요하고, 배기가스 발생이 없어 안전성, 청결도 및 제어면에서 아주 우수한 장점을 가진다. 시판되고 있는 주요 전기난방기는 복사전도형, 자연대류복사형, 강제대류형으로 분류된다.
전기카페트는 발열체가 있는 히터유니트 위에 카페트를 깐 것이다. 가열된 카페트로부터 방사, 자연대류, 전도에 의해 난방효과를 얻는다. 전기스토브는 석영히터와 반사판을 조립하고, 원적외선 방사와 자연대류를 이용해 방열한다. 오일라디에이터는 철제로 내부에 봉입된 오일을 가열하고 표면의 방사와 자연대류로 방열한다.
세라믹 패널히터는 내부의 세라믹 히터를 가열하여 복사방열하는 방식으로 방열기와 전면에는 입형패널을 설치한다. 베이스보드히터는 낮은 케이싱내에 방열용 라디에이터를 넣은 세장형 방열기로, 외벽의 창하부에 길게 설치하여 자연대류와 복사에 의해 난방을 하게 된다. 대류방열기는 비교적 두껍지 않은 케이싱 내에 방열체를 넣어 케이싱내의 대류효과에 의해 난방을 하는 방열기로써 케이싱 전면으로부터 복사방열 또한 기대할 수 있다.
세라믹 팬히터는 케이싱 내에 세라믹히터를 내장하고 팬으로 전면하부에 토출구로부터 온풍을 송풍하는 비교적 소형용량의 난방기구이다.
[자료출처 굿모닝 KGS ]